삼성전자 옙이 공식적으로 운영해왔던 커뮤니티 MP3대학이 조만간 서비스 종료된다. 그 동안 MP3대학은 옙 MP3P 사용자들의 자유게시판을 포함한 질문 및 의견 공유를 비롯해 리뷰, 각종 이벤트, MP3 관련 강의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오랜시간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되지 못한 커뮤니티와 활용성이 떨어지고 폐쇄적인 형태의 동아리 시스템, 빛을 보지 못하고 2기에 그친 열정운영진, 지정 패널들이 답변하는 Q&A 등 사이트의 목적과 의도에 비해 아쉬운 부분이 상당히 보였던 것은 사실이다. 또, 삼성전자는 최근 옙 MP3P 사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EmoDio를 새롭게 오픈하기도해 MP3대학의 입지는 더욱더 좁아지게 되었다. 이에 MP3대학 서비스가 종료되고 기존의 YEPP 브랜드 사이트와 커뮤니티가 결합된 형태로 리뉴얼될 예정이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새롭게 태어날 커뮤니티 통합형 YEPP 브랜드 사이트는 MP3대학이 가진 컨텐츠의 장점에 커뮤니티로서의 기능을 더 잘 살린 사이트로 거듭나길 기대해본다. >MP3대학 연결
'Portable Media Play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리버 P10, 외주개발 제품? (14) | 2008.07.28 |
---|---|
커뮤니티 MP3대학 서비스 종료 예정 (7) | 2008.07.27 |
NPS NPONE 휴대용 스피커 리뷰 예정 (9) | 2008.07.27 |
아이리버 스핀, FCC 인증 및 실사진 공개 (37) | 2008.07.26 |
다물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코원이나 알립은 회사 사이트내에 커뮤니티 게시판을 만들어 놓았죠. 접근성이 좋지만 코원 자게는 죽었고, 알립만 활성화 되어 있더군요. 그런데 삼성은 제품소개 사이트랑 커뮤니티 사이트를 분리해 놓았으니 사람이 적을 수 밖에요. 게시판도 여러개로 나뉘었고, 네이버 카페에게 각 모델별 모임도 빼앗겼죠. 또 플래시와 팝업창 엑티브 엑스덕분에 사이트가 무거워서 들어오기 싫더라고요. ㅡㅡ;
그냥 지금 옙사이트에 자유게시판 하나만 달아놓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하지만 삼성이 그럴리 없죠. 벌써 EmoDio도 만들어 놨으니까요. ㅡㅡ; 분산시키지 말고, 하나로 모아놔야 하는데 말이죠. 하나로 모아서 넘치면 분산을 시켜야 하는데, 모이기도 전에 분산을 시키니, 고객은 어디로 가야 되는지 몰라서 우왕자왕 거리게 되고, 그러니까 네이버 카페로 모이는게 아닐까요?
아일러스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저도 왠지 모르게 다른 사이트보다 네이버카페가 끌리는이유가.. 친근감이느껴져서그런거 아닐까요?
엄마야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알립은..... 커뮤니티 게시판이 아이리버에 희망이 없다는 말이나 as 같은 거 욕하던데...
Reply:
토드군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ㅋㅋㅋ 그래도 글은 제일 많아요~
코원 게시판하고 아이리버 게시판이 공식홈페이지 게시판중에서는 가장 물흐르듯 글이 많이 올라오죠ㅋ
Solbeige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이리버 자게는.............................비난이 물흐르듯-_-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비밀댓글입니다
시행착오들이..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사실 삼성은 최초 yepp.co.kr 내에 커뮤니티를 안고 있었다가, 이를 어떤 이유인지 모르나 product site와 community site로 분리를 한 것입니다.
2가지 이유로 생각합니다.
1) 삼성은 전 세계적으로 공식 site 상에서의 community가 거의 없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그 문을 개방하는 데도 불구하고 삼성은 그러하지 못했지요.
이러한 기업내 거스를수 없는 trend아닌 trend가 담당자를 나름 압박하지 않았을까요..
2) 커뮤니티는 고객의 재방문과 참여...이를 통해 재구매와 열성 고객으로 guide할 수 있는 상당히 파워있는 지름길입니다. 삼성은 이미 07년에 알립사를 멀찌감치 제치고 국내 1위를 하였으나,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및 충성도에 있어서는 아직 그렇지 못할 겁니다.. 이러한 인식으로 커뮤니티의 강화라는 측면이 분명 있었을 겁니다...
근데 이러한 것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안타깝게 문을 닫은 이유가 분명 있겠지요..
저 개인적으로 상당히 안타깝습니다...